Simply Me
감정 조절
24 Jun 2017
3 minutes read


감정 조절 안전하지 않은 사회에서 나를 지켜 내는 방법
권혜경 지음 | 을유문화사

  • 기본적으로 감정은 인간의 생존을 위해 필요한 것이고 감정을 조절한다는 것은, 감정을 억제하거나 선택적으로 느낀다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 느낄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.

  • 과다각성 상태와 감정저하상태 의 간격이 넓을 수록 감정을 견딜수 있는 범위가 넓어짐.

  • 감정 조절을 위한 두가지 필수조건. 안전하게 느껴야 방어하고 공격하는데 에너지를 쓰지 않게 되고, 부모에 의해서 감정 조절이 되는 경험을 하는 것

  • 누구와 있느냐에 따라서 자극받는 부분이 다르다. 나는 누구와 있어야 내가 하는 생각과 감정들이 잘 받아들여질것이라는 믿음이 생기나?

  • 인간의 뇌는 파충류의 뇌, 죽느냐 사느냐에 관련된 방어기제 관장.

  • 포유류의 뇌(변연계)에는 해마와 편도체가 있는데 해마는 기억과 경험의 처리를 담당. 편도체는 경보기의 역할. 편도체도 기억을 맥락없이 저장.

  • 인간의 뇌 전전두엽만 제대로 역할을 하면 좋은데 편도체에서 전두엽으로 정보를 많이 보내서 감정에 압도당하게 되는 것.

  • 방어기제. 싸우기 도망가기. 얼어붙기.

  • 진정한 의미의 방어기제 : 사회관계체제. Social engagement system. 물리적 위협이 없고 감정적 취약점이 드러나도 잘 받아들여지는 경험. 감정 조절을 잘 할 수 잇ㄱ는 뇌가 작동하기 위해서 안전감을 느껴야 한다.

  • 분리에 대한 반응. 저항protest 절망despair 무관심Dettachment

  • 어릴때 부모로부터 형성된 애착유형은 성인이 되어서도 나타난다. 회피형 집착형 혼돈형. 애착 유형은 우리가 누구를 만나서 어떤 경험을 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. 노력하면 뇌느 평생에 걸쳐 변화된다.

  • 한국상회에도 홀로코스트 버금가는 많은 국가적 재난과 트라우마들이 있었다. 이러한 사회적 트라우마 이후의 에너지들이 국가차원에서 잘 다뤄지지 못했다. 우리는 이해와 도움을 받지 못했고 폭력적이거나 무기력한 상태가 되었다.

  • 한이란 분노와 무기력. 분하고 화가 나지만 어떤행동을 취해도 소용없다는 무력감과 자포자기가 학습.

  • 한국사회에 대대로 물려 내려온 남존여비 분위기. 가 가정에서 여성은 집착형. 남성은 회피형으로 내몰았다 (난 왜 이도 저도 아닌 애매한 모습일까 했는데 난 남자가 없는 가정에서 자랐도, 한국의 가정에 있지 않기 때문인 듯)

  • 감정 조절을 잘 하려면 안전감. 신체적 감정적 위협이 없는 안전한 상태와 스스로 안전감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능력이 필요. 호르몬 (도파민, 세로토닌 옥시토닌 엔돌핀)을 활용하거나 상상으로 몸과 마음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. 또는 심호흡, 점진적 긴장 이완훈련, 명상등으로 몸의 상태를 바꾸는 방법, 잘놀고 잘자기, 잘싸우기등이 있다.

  • 감정조절을 통해 행복감에 오래 머물러있고 감정적으로 건강한 상태에 머무르고, 명석한 상태에 머무를 수 있다. 이것의 비밀을 알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.

  • 어떤 문제를 틀렸을 때 내가 왜 틀렸는지, 정답은 뭔지 찾아보지도 않고 같은 문제가 나올 때마다 틀리고 또 틀리고를 반복하면서 ‘나는 가망이 없나 봐’ 라고 포기하는 사람이 있다. 그 사람이 가망 없는게 아니라 틀린 이유와 정답을 찾는 노력을 하지 않은 것이다. 공부를 잘하는 아이들은 시험에서 틀리면 그게 왜 틀렸는지 왜 자신은 그것을 정답이라고 생각했는지 알아내어, 어떻게 다르게 생각해서 정답을 맞힐 수 있을지 배워간다. 다음에 같은 문제가 나오더라도 또 틀릴 수 있지만 마찬가지로 그 이유와 정답을 알아 가는 과정을 계속하다보면 비슷한 유형의 문제가 나왔을 떄 결국은 정답을 찾을 수 있다. 많은 사람들은 ‘어쩔 수 없어’ ‘나는 원래 그래’라며 뭔가 새로운 시도를 하지도 않고 불행하게 살아간다. 하지만 운명보다 더 강한것은 자신의 의지다. 현재 삶에 만족하지 않는다면 내가 힘들고 불편하더라도 그것을 견디며 새로운 경험을 하나씩 해 보고, 그러다 보면 운명, 성격, 관계등이 바뀐다. 이게 바로 심리 치료가 제공해 줄수 있는 것들이다.

  • 감정조절이 된다는 것은 내가 행복감에 좀 더 오래 머물러 있을 수 있고, 센체적으로 또 감정적으로 건강한 상태에 머물러 있을 수 있고, 다양한정보들을 잘 이용해 나에게 가장 유리한 결정을 내리는 명석한 상태에 머무를수 있다는 것이다.


Tag: book